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바우처 신청자격 확인✅

굿플래너 2025. 6. 16.

에어컨 틀기 망설여지고, 겨울엔 보일러도 눈치 보이시죠? 정부가 지원하는 ‘에너지바우처’를 신청하면 최대 약 70만 원까지 전기, 도시가스, 난방비 등 에너지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 영유아를 돌보는 가정, 장애인, 임산부, 한부모가족 등은 조건만 맞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올해도 2025년 6월 9일부터 신청이 시작되었어요. 하지만 꼭 기억하셔야 할 점이 하나 있어요.

⚠️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조건을 충족해도
예산이 모두 소진되면
지원이 불가합니다.

 

 

 

신청은 빠를수록 유리합니다. 이 글에서 자격 조건부터 신청 방법, 숨은 꿀팁까지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 에너지 바우처란?

에너지 바우처는 에너지 취약계층에게 전기, 가스, 연탄 등 에너지 구입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자는 국민행복카드 또는 요금차감 방식으로 여름(하절기)과 겨울(동절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여름철: 전기요금 자동 차감
  • 겨울철: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연탄 등 사용 가능합니다.

 

📝 에너지 바우처 신청자격 확인 방법

 

 

1. 소득 기준 충족 여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아래 급여 수급자 안내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급자

 

2. 세대원 특성 기준 충족 여부

본인 또는 주민등록표상 세대원이 아래 중 하나 이상 해당하면 가능합니다.

  • 노인: 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만 65세 이상)
  • 영유아: 201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만 7세 이하)
  • 장애인: 등록 장애인
  • 임산부: 임신 중 또는 출산 6개월 미만
  • 중증/희귀/난치질환자
  • 한부모가족
  • 소년소녀가정 또는 가정위탁보호아동

🔎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복지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에너지 바우처 신청 방법

🏢 오프라인 신청

  •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해주시면 됩니다.
  • 대리 신청 가능 (친족, 세대원, 공무원 직권 신청도 가능)

 

 

 

🌐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 서비스 신청 → 에너지 바우처

 

☎ 전화 문의

  • 에너지바우처 콜센터: 1600-3190

 

💰 에너지 바우처 지원 금액 (2025년 기준)

세대 인원수 총 지원금액
(괄호 : 하절기
사용시 금액)
1인 세대 295,200원 (40,700원)
2인 세대 407,500원 (58,800원)
3인 세대 532,700원 (75,800원)
4인 이상 701,300원 (102,000원)
  • 2025년 7월 1일 ~ 2026년 5월 25일까지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 하절기 금액만 사용할 경우 해당 금액으로 제한되니 참고해주세요.

 

📅 신청 및 사용 기간

  • 신청 기간: 2025년 6월 9일 ~ 12월 31일
  • 사용 기간: 2025년 7월 1일 ~ 2026년 5월 25일
    • 하절기: 7월 ~ 9월
    • 동절기: 10월 ~ 익년 5월

 

 

🛠️ 바우처 사용 방식

1. 요금 차감 방식

  •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 자동 차감
  • 신청 시 최근 요금고지서 필요

2. 국민행복카드

  • 연탄, 등유, LPG 구입 시 사용
  • 가까운 카드사 또는 은행 통해 발급 가능
  • 주요 카드사: 국민, 신한, BC, 삼성, 롯데 등

 

 

❗ 꼭 알아두세요

자동 신청 대상자: 작년과 동일한 조건이면 자동 신청
세대원 변경, 이사 시 반드시 신규 신청 필요
하절기 요금 미차감 신청 시 겨울에 몰아서 사용 가능

 

❓2025 에너지바우처 자주 묻는 질문 (FAQ)

에너지바우처는 한 번 신청했다고 끝나는 제도가 아닙니다. 이사, 세대원 변경, 연료방식 변경 등 생활 속 변화에 따라 재신청이 필요한 경우도 생깁니다.


또한 자칫 놓치기 쉬운 세부 규정들이 있어요. 아래는 실제 문의가 많았던 질문과 답변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실수 없이 정확하게 신청하고 사용하는 데 꼭 도움이 될 겁니다.

 

✅ Q1. 이사를 했는데, 에너지바우처도 다시 신청해야 하나요?

네, 이사(전입 신고)를 하면 기존 바우처는 자동 중지 처리됩니다.

  • 자동중지 시점: 전입신고 후 익일 오후 6시 5분 이후
  • 재신청 방법: 전입한 지역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전기요금 고지서 지참 필수 (요금차감 신청 시)
    • 새로운 고객번호 등록을 위한 정보 수정 필요

💡 단, 동절기에 실물카드(국민행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2025년 10월 1일 이후 전출입했더라도 재신청 없이 기존 카드 사용 가능합니다. 가상카드(요금차감) 방식일 경우에는 반드시 재신청 필요!

 

✅ Q2. 세대원이 늘었어요. 바우처 지원금액이 늘어나나요?

네, 주민등록등본상 세대원이 증가하면 바우처 금액도 상향 조정됩니다.

  • 세대원 증가 신청 기간: 2025년 6월 9일 ~ 2026년 5월 25일
  • 신청 방법: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신청 즉시, 증가된 세대원 수에 맞는 지원금액으로 자동 변경

📌 세대원 수에 따른 최대 지원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세대원 수 총 지원금액
(2025년 기준)
1인 세대 295,200원
2인 세대 407,500원
3인 세대 532,700원
4인 이상 701,300원

 

 

✅ Q3. 수급자가 사망하면 바우처는 중지되나요?

네. 수급자 사망 시 에너지바우처는 자동 중지 처리됩니다.

  • 중지 시점: 사망신고 후 익일 오전 7시 35분 이후

하지만! ➡️ 2인 이상 세대인 경우, 다른 세대원이 소득기준 + 세대원 특성기준을 만족한다면 기존 잔액 그대로 바우처를 재신청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반드시 주민등록표상 동일 세대원이어야 하며, 재신청을 통해 잔액 승계가 이뤄집니다.

 

✅ Q4. 연탄쿠폰과 에너지바우처를 동시에 신청할 수 있나요?

하절기(여름)에는 가능하지만, 동절기(겨울)에는 중복 지원이 불가합니다.

구분 가능 여부
하절기 (7~9월) ✅ 가능 (단, 하절기 한정 지원금만 지급)
동절기 (10~5월) ❌ 중복 사용 불가 (한 가지만 선택해야 함)

 

💡 예를 들어, 동절기에 연탄쿠폰을 신청하면
→ 에너지바우처는 자동 중지 처리됩니다.

 

👉 바우처를 신청할 땐
하절기 요금차감 정보(전기 고객번호)만 입력하고, 동절기엔 연탄쿠폰을 따로 신청하는 식으로 분리 신청 전략을 세우세요.

 

✅ Q5. 5월에 시작된 신청을 9월에 하면 여름 지원금은 못 받나요?

아니요. 9월에 신청하더라도 전체 지원금이 그대로 지급됩니다.

 

에너지바우처는 신청 기간 내에만 신청하면 하절기 + 동절기 전체 금액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신청 시점이 늦을수록 하절기 요금 차감이 지연되거나 누락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 Q6. 국민행복카드와 요금차감을 동시에 신청할 수 있나요?

❌불가능합니다.

계절 방식 선택
하절기 (7~9월) 전기요금 차감 방식만 가능
동절기 (10~5월) 국민행복카드
또는 요금차감 방식 중 택1

 

💡 국민행복카드는 직접 에너지원(연탄, LPG, 등유 등) 구매 시 유용하고, 요금차감은 자동청구되는 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 요금에 적합합니다.

 

📌 마무리 정리: 신청 전 꼭 확인하세요!

상황 조치사항
이사함 재신청 필요 (요금차감 방식일 경우)
세대원 늘어남 센터 방문해 세대원 수 변경 신청
수급자 사망 세대원이 남아 있으면 재신청으로 이어받기 가능
연탄쿠폰과 병행 희망 하절기만 중복 가능, 동절기는 하나만 선택
신청 시기 놓침 신청 기간 내 신청하면 전체 금액 사용 가능
카드/요금차감 병행 희망 계절별로 1개 방식만 선택 가능

 

에너지 비용이 부담되는 요즘, 에너지 바우처는 경제적으로 가장 실질적인 지원입니다. 지금 바로 신청자격을 확인하시고, 놓치지 마세요. 여러분의 따뜻한 겨울, 시원한 여름, 정부가 도와드립니다. 🌿

 

🔗 관련 사이트

 

📝같이보면 좋은 지원금 소식지

 

소상공인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 50만원 조건 기간✅

하루하루 운영이 버거운 소상공인 여러분, 전기료와 보험료 내는 것도 부담되시죠? “이럴 때 도움 줄 수 있는 정부 지원금, 뭐 없을까?” 고민하셨다면, 지금 주목하세요.2025년부터 시행되는 ‘

https://m.site.naver.com/1Ks4e

 

댓글